이전 포스팅에서 VMware PowerCLI 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https://blog.kakaocdn.net/dn/P2BSj/btsw6WZCSJx/kr346KG0yDLuisA1Ph1DAK/img.png)
이번 포스팅에서는 PowerCLI를 이용해서 VM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PowerCLI를 이용하면 한 번에 여러 개의 VM 생성/삭제 등이 가능하다.
VM 생성에 관한 PowerCLI에 대한 커맨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자!!!
![](https://blog.kakaocdn.net/dn/NxwTn/btsw8hCebM1/pIblzNIftXNNK9xRyFYRyk/img.png)
간단히!!
복습을 해보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PowerShell의 버전을 확인하고 PowerCLI를 설치한다.
$PSVerdionTable
Find-Module -Name VMware.PowerCLI
Install-Module VMware.PowerCLI -Scope CurrentUser
![](https://blog.kakaocdn.net/dn/dhUQVo/btsw6XYwS00/b30GIYsnafPitOf3KXVOcK/img.png)
그리고 PowerCLI에서 스크립트 실행을 위해서 아래와 같이 PowerShell의 RemoteSigned를 설정한다.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https://blog.kakaocdn.net/dn/wuuOD/btsw8hWwwus/d3ru4wj1VKIsiYnMljU1H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o2J5B/btsxgbnRvEn/7VDHNzatkuyJjMv7HtrOS1/img.png)
그리고 신뢰되지 않는 자격 증명에 대한 응답을 허용해준다.
Set-PowerCLIConfiguration -Scope AllUsers -ParticipateInCeip $false -InvalidCertificateAction Ignore
![](https://blog.kakaocdn.net/dn/ceGnxE/btsxd2kpspl/xxiKU6ABjNSOUy9fNgEWf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em2Or/btsxgUznU21/GmCwDp2tkmQjybssdXuQt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N3pcQ/btswBDNMWHx/OT6a3Lpq0AigMaOqRkse9k/img.png)
이제 vCenter Server에 연결해보자
Connect-VIServer -Server 서버아이피 -User administrator@vsphere.local -Password 패스워드
GET-VM
![](https://blog.kakaocdn.net/dn/bjDTWA/btsw65PBchb/hJloIQgSXzayqdhbHAbtz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u631Y/btsxgnPmca4/ukBMtuvrsnyckSMGp1KQkK/img.png)
Get 으로 생성되어 있는 VM 및 다른 정보들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한다.
get-vmhost
get-vm
get-datacenter
get-datastore
get-template
![](https://blog.kakaocdn.net/dn/2UJVX/btsxd1FPcgc/0qEkuMfq69rTbpEFZyxDV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Aroh4/btswJzj7LIg/uwZtqKK5tGUWm8OiJMAEz1/img.png)
아래는 생성해 놓은 템플릿을 이용하여 새로운 VM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vCenter Server에서도 동일하게 UI를 이용하여 템플릿 생성할 수 있다)
아래처럼 템플릿 template_ubuntu_001 을 이용하여 deployTest_001 이라는 VM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템플릿이 VM으로 변경이 되고 템플릿은 사라진다.
Get-Template template_ubuntu_001 | Set-template -ToVM -Name deployTest_001
![](https://blog.kakaocdn.net/dn/NZDIq/btsxd3p5Wzf/rjeSAUhjfMeN6zskSBUK3k/img.png)
New-vm 명령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VM을 생성할 수 있다.
템플릿을 사용하여 VM을 생성하고 사용된 템플릿은 그대로 남는다.
New-vm -vmhost 192.168.x.11 -Name Deploy01 -Template tem_ubuntu_001 -Datastore SSD_1
![](https://blog.kakaocdn.net/dn/cMDr5i/btsw6WFj0ns/U6mlFJJb1VQKQnnTKZhoz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muHwx/btsxh6tm3W6/rTuXqN27kRYrFPPEjxmz0K/img.png)
New-vm 명령을 이용하여 새로운 VM을 생성하고 | Start-VM 옵션으로 생성한 VM을 바로 가동시킬 수 있다.
New-vm -vmhost 192.168.x.11 -Name Deploy04 -Template tem_ubuntu_001 -Datastore SSD_1 | Start-VM
![](https://blog.kakaocdn.net/dn/bZF4dP/btsw6WFj0nf/pH6mvkGBxehRPXhrGevev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Z2xIy/btsxg4buL6i/e7oh0ilGx9dOU6PINkSbEk/img.png)
PowerCLI를 이용하여 VM을 한 번에 여러개 생성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숫자 | Foreach' 를 이용하면 원하는 갯수의 VM을 한 번에 생성할 수 있다.
VMware PowerCLI로 한 번에 5개의 VM 생성
1..5 | Foreach {
New-vm -vmhost 192.168.x.11 -Name Deploy0$_ -Template tem_ubuntu_001 -Datastore SSD_1}
![](https://blog.kakaocdn.net/dn/bQ3OQz/btswUT3xK09/104sizkrMDSkdaG2Dkvxjk/img.png)
VMware PowerCLI로 한 번에 10개의 VM 생성 / 생성한 VM Power ON
1..10 | Foreach {
New-vm -vmhost 192.168.x.11 -Name Deploy0$_ -Template tem_ubuntu_001 -Datastore HDD_1 | Start-VM}
![](https://blog.kakaocdn.net/dn/bt33Hm/btsw2Fw7SiJ/8Onlw6q64A2KzMVXUnmRl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c1TH5/btsxaNBp99z/n8oCEMceOjIS1kUkgUPoL0/img.png)
VMware PowerCLI로 한 번에 30개의 VM 생성 / 생성한 VM Power ON
1..30 | Foreach {
New-vm -vmhost 192.168.x.11 -Name Deploy0$_ -Template tem_ubuntu_001 -Datastore HDD_1 | Start-VM}
![](https://blog.kakaocdn.net/dn/CQ2FA/btsw8X5l3Dk/vj6EJkfheZlLtmqw1ewtdk/img.png)
'Compute > VM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시작하기 #9] VMware ESXi SSH 접속하는 방법 / esxcli 사용 방법 / esxcli 접속 방법 (0) | 2024.02.16 |
---|---|
[VMware 시작하기 #7] VMware PowerCLI 설치 / Windows PowerShell 사용하기 (0) | 2023.09.26 |
[VMware 시작하기 #6] VMware vCenter 설치 방법 정리 (0) | 2023.09.22 |
[VMware 시작하기 #5] VMware 콘솔 스크롤 업 다운 안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with Linux) (0) | 2023.09.22 |
[VMware 시작하기 #4] VMware ESXi 8.0 설치 EFI 인식 안되는 현상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