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od에서 특정 에러로그 찾아서 파일로 저장
quick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kubectl/quick-reference/
quick-reference > log
quick-reference > log > write
2. PV 이름순 정렬
quick-reference > persist
quick-reference > sort-by
3. 멀티컨테이너 pod 만들기
pod
4. nodeselector를 이용해서 pod를 특정 node에 생성
nodeselector
nodeselector > Assign Pods to Nodes(링크)
5. pod에 init 컨테이너 내용 추가
initcontainer volume mount
6. 특정 pod에 service 연결
expose
7. Namespace를 생성하고 생성한 namespace에 pod 만들기
namespace create
8. 특정 namespace에 생성된 service에 연결된 pod list를 파일로 저장
cheat sheet
9. 조건에 맞는 pod를 생성, volume은 not persistent
volume mount
volume mount > empty
10. Secret 생성, 첫번째 pod의 특정 경로에 file 마운트, 두번째 pod의 env에 매칭
secret create
secret > env
11. Deployment 생성 후 spec을 저장하고 deployment를 삭제
deployment
12. 존재하는 Deployment의 scale을 5로 늘리기
deployment
deployment > scale
13. Deployment 생성/업그레이드/롤백하기
deployment
deployment > update
14. Doployment 생성 후 service 연결. nslookup으로 pod dns, service dns 조회한 내용을 저장
deployment expose
15. Daemonset으로 모든 노드에 nginx pod 생성, node의 tains 를 무시하지 않도록 설정
daemonset
16. Taints로 noschedule이 걸려 있는 node는 제외하고 ready 상태인 node 갯수 저장
taints
17. CPU 부하가 가장 큰 pod 이름 저장
cheatsheet
cheatsheet > top
cheatsheet > sort
18. ETCD 스냅삿 / TLS로
etcd
etcd > snap
19. 특정 label에 달린 노드를 사용불가하게 만들고 해당 노드의 pod들은 모두 reschedule
drain
20. node의 상태가 NotReady일 때 원인을 찾아서 Ready 상태로 만들어라.
kubelet
systemctl kubelet
21. static pod 생성
static pod
22. master node의 static pod가 실행되지 않을 때, 문제 해결
static pod
find / -name kubelet
23. hostpath 타입의 PV 생성
persistent volume create
24. cluster 설치
cluster create
kubeadm
'Compute > kubernet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A] 03. kubectl logs 명령어 사용 문제 (0) | 2025.01.11 |
---|---|
[CKA] 02. kubectl get 명령어 사용 문제 | kubectl get pods -o name | kubectl get pods -o yaml | jsonpath (0) | 2025.01.11 |
kubernetes pod의 컨테이너 진입 옵션 --sh 와 bash의 차이 (0) | 2024.12.09 |
[CKA] 01. kubectl autocomplete | context와 manifest의 정의 | CKA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0) | 2024.12.02 |
[쿠버네티스 시작하기 #3] pv와 pvc 생성 | pv와 pvc의 차이 (3) | 2024.10.21 |